매월 내는 건강보험료가 얼마인지 알고 계신가요? 복잡한 계산 없이도 건강보험료만 알면 내가 전국에서 몇 %에 해당하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국가장학금, 의료비 지원, 각종 복지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인데도 모르고 지나치는 분들이 많아요. 지금 바로 30초만에 건강보험료별 소득분위를 확인해보세요!
급여명세서나 The건강보험 앱만 있으면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. 복잡한 계산은 필요 없어요!
소득분위 확인 가장 쉬운 방법: 급여명세서 5초 확인법

월급을 받으면서 급여명세서를 자세히 본 적 있나요? 여기에 내 소득분위를 알 수 있는 핵심 정보가 숨어있습니다. 급여명세서에서 “건강보험” 항목을 찾아보세요.
급여명세서에서 찾는 방법
급여명세서 공제 내역을 보면 이런 항목들이 있을 거예요.
- 국민연금: 기본급의 4.5%
- 건강보험: 기본급의 3.545% (이 금액이 중요!)
- 장기요양보험: 건강보험료의 12.95%
- 고용보험: 기본급의 0.9%
여기서 건강보험료 금액만 기억하면 됩니다. 장기요양보험료는 제외하고 순수 건강보험료만 확인하세요!
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에 추가로 부과되는 금액입니다. 소득분위 확인시에는 순수 건강보험료만 사용해야 정확합니다.
월급 수준 | 건강보험료 (대략) | 소득분위 (4인가족 기준) |
---|---|---|
200만원 | 7만원 | 하위 30% |
300만원 | 11만원 | 하위 50% |
400만원 | 14만원 | 중위소득 60% |
500만원 | 18만원 | 중위소득 80% |
스마트폰으로 1분만에 확인하기: The건강보험 앱

급여명세서가 없거나 지역가입자라면? 스마트폰 하나면 충분합니다.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만든 ‘The건강보험’ 앱을 사용하면 내 보험료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.
The건강보험 앱 사용법
- 앱 설치: 구글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‘The건강보험’ 검색
- 간편로그인: 카카오, 네이버, 페이스북으로 로그인 가능
- 보험료 확인: 메인화면 → ‘민원여기요’ → ‘보험료 조회’
- 금액 확인: 최근 6개월 평균 건강보험료 확인
앱에서 확인한 건강보험료를 아래 분위표와 비교하면 내 소득분위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. 특히 직장가입자는 회사에서 절반을 부담하므로, 실제 보험료의 2배가 전체 보험료라는 점을 기억하세요!
지역가입자는 더 간단해요
자영업자나 프리랜서 같은 지역가입자는 보험료를 100% 본인이 부담하므로 더 간단합니다. 앱에서 나온 금액 그대로 분위표와 비교하면 됩니다.
The건강보험 앱에서는 가족 전체의 의료 이용 내역, 건강검진 결과까지 확인할 수 있어요. 한 번 설치해두면 정말 유용합니다!
2025년 가구별 소득분위 한눈에 보기
내 건강보험료를 확인했다면 이제 분위표와 비교해보세요. 2025년 기준으로 모든 소득분위별 건강보험료를 완전 정리했습니다.
1인 가구 소득분위별 건강보험료 전체표
기준 중위소득 | 월 소득기준 | 직장가입자 | 지역가입자 | 소득분위 |
---|---|---|---|---|
60% | 1,435,208원 | 50,878원 | 13,583원 | 하위 30% |
70% | 1,675,000원 | 59,500원 | 13,850원 | 하위 35% |
80% | 1,914,400원 | 68,040원 | 15,824원 | 하위 40% |
100% | 2,393,000원 | 85,040원 | 19,780원 | 중위소득 |
120% | 2,871,600원 | 102,040원 | 23,736원 | 상위 40% |
140% | 3,349,000원 | 118,821원 | 46,072원 | 상위 30% |
160% | 3,828,000원 | 136,981원 | 66,857원 | 상위 20% |
180% | 4,306,000원 | 152,664원 | 88,285원 | 상위 10% |
2인 가구 소득분위별 건강보험료 전체표
기준 중위소득 | 월 소득기준 | 직장가입자 | 지역가입자 | 소득분위 |
---|---|---|---|---|
60% | 2,359,595원 | 83,648원 | 18,877원 | 하위 30% |
70% | 2,753,000원 | 98,361원 | 19,780원 | 하위 35% |
80% | 3,147,000원 | 112,371원 | 37,001원 | 하위 40% |
100% | 3,933,000원 | 139,817원 | 70,053원 | 중위소득 |
120% | 4,720,000원 | 167,820원 | 105,060원 | 상위 40% |
140% | 5,506,000원 | 196,177원 | 133,680원 | 상위 30% |
160% | 6,293,000원 | 225,915원 | 162,782원 | 상위 20% |
180% | 7,079,000원 | 252,203원 | 196,416원 | 상위 10% |
3인 가구 소득분위별 건강보험료 전체표
기준 중위소득 | 월 소득기준 | 직장가입자 | 지역가입자 | 소득분위 |
---|---|---|---|---|
60% | 3,015,212원 | 106,889원 | 33,167원 | 하위 30% |
70% | 3,518,000원 | 125,976원 | 56,598원 | 하위 35% |
80% | 4,021,000원 | 143,298원 | 75,675원 | 하위 40% |
100% | 5,026,000원 | 179,415원 | 121,707원 | 중위소득 |
120% | 6,031,000원 | 215,933원 | 151,146원 | 상위 40% |
140% | 7,036,000원 | 252,203원 | 196,416원 | 상위 30% |
160% | 8,041,000원 | 288,617원 | 243,019원 | 상위 20% |
180% | 9,046,000원 | 330,765원 | 292,298원 | 상위 10% |
4인 가구 소득분위별 건강보험료 전체표 (가장 일반적)
기준 중위소득 | 월 소득기준 | 직장가입자 | 지역가입자 | 소득분위 |
---|---|---|---|---|
60% | 3,658,664원 | 129,700원 | 62,197원 | 하위 30% |
70% | 4,269,000원 | 152,670원 | 88,285원 | 하위 35% |
80% | 4,879,000원 | 174,082원 | 113,431원 | 하위 40% |
100% | 6,098,000원 | 219,196원 | 154,802원 | 중위소득 |
120% | 7,318,000원 | 261,360원 | 208,471원 | 상위 40% |
130% | 7,928,000원 | 282,731원 | 235,278원 | 상위 35% |
140% | 8,537,000원 | 311,031원 | 269,976원 | 상위 30% |
150% | 9,147,000원 | 330,765원 | 292,298원 | 상위 25% |
160% | 9,757,000원 | 354,964원 | 320,449원 | 상위 20% |
180% | 10,976,000원 | 407,092원 | 382,076원 | 상위 10% |
5인 가구 소득분위별 건강보험료 전체표
기준 중위소득 | 월 소득기준 | 직장가입자 | 지역가입자 | 소득분위 |
---|---|---|---|---|
60% | 4,264,915원 | 151,191원 | 86,578원 | 하위 30% |
70% | 4,976,000원 | 177,488원 | 118,793원 | 하위 35% |
80% | 5,687,000원 | 201,632원 | 134,274원 | 하위 40% |
100% | 7,109,000원 | 252,203원 | 196,416원 | 중위소득 |
120% | 8,530,000원 | 302,462원 | 260,307원 | 상위 40% |
140% | 9,952,000원 | 354,964원 | 320,449원 | 상위 30% |
160% | 11,374,000원 | 407,092원 | 382,076원 | 상위 20% |
180% | 12,795,000원 | 461,699원 | 447,279원 | 상위 10% |
1. 내 가구원수에 맞는 표 선택
2. 내 건강보험료와 비슷한 금액 찾기
3. 해당하는 소득분위 확인!
※ 장기요양보험료는 제외하고 확인하세요
내 소득분위로 받을 수 있는 혜택 총정리

소득분위를 확인했다면 이제 혜택을 챙길 차례입니다. 많은 분들이 자격이 되는데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아요.
의료비 지원 혜택
본인부담상한제는 소득분위에 따라 연간 의료비 상한선이 정해집니다:
소득분위 | 연간 의료비 상한액 | 초과분 지원 |
---|---|---|
1~2분위 (하위 20%) | 80만원 | 100% 공단 부담 |
3~5분위 (하위 50%) | 100만원 | 100% 공단 부담 |
6~8분위 (중상위층) | 200만원 | 100% 공단 부담 |
9~10분위 (상위 20%) | 300만원 | 100% 공단 부담 |
재난적의료비 지원도 있어요.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라면 큰 병원비의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교육비 및 생활비 지원
대학생이 있는 가정이라면 꼭 확인하세요:
- 국가장학금: 기준 중위소득 130% 이하 (소득분위 8구간까지)
- 교육급여: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
- 주거급여: 기준 중위소득 48% 이하
- 생계급여: 기준 중위소득 32% 이하
특히 국가장학금은 소득분위가 높아도 일정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어서 꼭 신청해보세요!
중위소득 100% 이하라면 법무부 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 법률상담과 소송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의외로 모르는 분들이 많아요.
2025년 달라진 점과 더 쉬운 확인 팁

2025년에는 건강보험료 확인이 더욱 쉬워졌습니다. 몇 가지 새로운 방법과 꿀팁을 알려드릴게요.
국세청 홈택스에서도 확인 가능
의외로 많은 분들이 모르는 방법인데, 국세청 홈택스에서도 건강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어요.
- 홈택스 로그인 → ‘나의 홈택스’
- ‘나의 소득·연말정산’
- ‘4대보험 납부내역 조회’
- 건강보험료 연간/월간 납부내역 확인
특히 직장을 옮긴 분들이나 여러 직장에서 일하는 분들에게는 이 방법이 더 정확할 수 있어요.
간편한 소득분위 확인 공식
복잡한 계산 없이 대략적인 소득분위를 알고 싶다면 이 공식을 사용해보세요.
4인 가족 직장가입자 기준:
• 건강보험료 10만원 → 하위 30% 정도
• 건강보험료 15만원 → 하위 50% 정도
• 건강보험료 22만원 → 중위소득 100%
• 건강보험료 30만원 → 상위 30% 정도
가족 구성원이 여러 명일 때
가족 중에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가 섞여있다면? 이런 ‘혼합가구’는 각각의 보험료를 합산해서 계산합니다. 혼합가구 전용 기준표가 따로 있으니 정확한 확인이 필요하면 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하세요.
소득이 갑자기 변했을 때
실직, 휴직, 사업 부진 등으로 소득이 급격히 줄어들었다면 보험료 경감 신청을 할 수 있어요. 특히 지역가입자는 2024년부터 도입된 ‘사후정산 제도’로 나중에 보험료를 돌려받을 수도 있습니다.
소득분위 확인은 이제 어렵지 않아요. 30초면 충분합니다. 급여명세서나 스마트폰 앱으로 간단히 확인하고, 내가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혜택들을 놓치지 마세요. 특히 의료비 지원이나 교육비 지원은 금액이 상당하니까요!
정기적으로 확인해서 소득 변화에 따른 혜택 변화도 체크하시고, 궁금한 점이 있으면 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(1577-1000)로 언제든 문의하세요. 친절하게 안내해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