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신이 확인되면 가장 궁금한 것이 “우리 아기는 지금 어떻게 자라고 있을까?”입니다. 임신 주수별 변화를 자세히 알아보면 태아의 성장과 엄마 몸의 변화를 단계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임신 초기부터 출산까지 40주간의 상세한 변화를 시기별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임신 주수는 마지막 생리 시작일부터 계산합니다. 실제 수정은 임신 2주차에 이루어지므로, 임신 4주차가 되어야 생리 예정일이 지나게 됩니다.
임신 초기(1~12주): 생명의 기초가 만들어지는 시기

임신 1~4주: 수정과 착상
임신 1~2주는 실제로는 아직 임신이 아닌 상태입니다. 마지막 생리 첫날부터 배란까지의 기간입니다. 임신 3주에 수정이 일어나고, 임신 4주에 수정란이 자궁내막에 착상합니다.
- 태아: 수정란 크기 0.2mm → 0.36mm로 성장
- 엄마: 착상혈(2-3방울), 미열, 기초체온 상승 시작
- 주요 변화: 신경관 형성 시작, 융모조직 발달
임신 5~8주: 주요 장기 형성
태아 성장에 매우 중요한 시기로 머리, 근육, 뼈, 심장, 간장, 위 등이 형성되기 시작합니다. 뇌와 신경세포의 80%가 이 시기에 만들어지는 중요한 때입니다.
주수 | 태아 크기 | 주요 발달 | 엄마 변화 |
---|---|---|---|
5주 | 0.5cm | 초기 신경조직 형성 | 생리 지연, 임신 증상 시작 |
6주 | 1cm | 심장박동 시작 | 입덧, 유방 팽만, 잦은 소변 |
7주 | 1.5cm | 눈, 코, 입 형성 | 입덧 심화, 피로감 |
8주 | 2cm, 4g | 주요 장기 발달 | 식욕 없음, 질 분비물 증가 |
임신 9~12주: 사람의 모습 갖추기
사람의 형태를 갖춘 2등신이 되며, 머리가 몸 전체의 반 정도를 차지합니다. 손가락, 발가락이 생기고 양수 안에서 헤엄치기 시작해합니다.
- 9주: 손발 모양 생성, 머리와 몸통 구분
- 10주: 치아 돌기 형성, 피부 2층 분화
- 11주: 근육과 뼈 발달, 얼굴 윤곽 형성임신 주수별 상세 변화
- 12주: 키 9cm, 체중 20g, 초음파로 심장박동 확인 가능
임신 중기(13~28주): 안정기와 태동의 시작
임신 13~16주: 안정기 진입
태반이 완성되어 안정기에 들어서며 입덧이 차츰 가라앉습니다. 태아의 이마 가장자리에서 생겨난 눈이 콧등 주변으로 모아져 자리를 잡습니다.
- 태아: 키 12-15cm, 체중 150g
- 성기 형성: 초음파로 성별 구별 가능
- 감각 발달: 내이 형성으로 소리 들을 수 있음
- 엄마: 입덧 완화, 식욕 증가, 임신부 체형 시작
임신 17~20주: 첫 태동의 감동
많은 임산부들이 이 시기에 처음으로 태동을 느끼기 시작합니다. 빠른 경우 16주부터, 늦어도 20주에는 태동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
초산부보다 경산부가, 뚱뚱한 임산부보다 날씬한 임산부가 태동을 더 일찍 느낄 수 있습니다. 처음에는 장이 꾸르륵거리는 것 같은 미묘한 느낌으로 시작됩니다.
임신 21~24주: 감각기관 발달
모든 감각기관이 활발하게 발달하는 시기입니다. 후각, 미각, 청각, 시각, 촉각이 발달하며 엄마의 목소리에 반응하기 시작합니다.
- 태아: 키 20-25cm, 체중 300g
- 뇌 발달: 엄마와 아빠 목소리 기억 가능
- 피부: 배내털(솜털) 생성
- 엄마: 배 불러오기 시작, 유즙 분비 시작
임신 25~28주: 생존 가능성 시작
임신 28주부터는 조산하더라도 집중 치료를 받으면 생존할 가능성이 있는 시기입니다. 태아의 폐가 발달하기 시작합니다.
임신 후기(29~40주): 출산 준비 완성
임신 29~32주: 급속한 성장
태아가 매주 200-300g씩 급성장하는 시기입니다. 모든 신체 기관의 발달이 거의 완성되지만 폐는 아직 발달 중입니다.
- 태아: 키 40cm, 체중 1.5kg
- 뇌 발달: 뇌세포와 신경 순환계 연결
- 엄마: 자궁 수축 느낌, 임신선 생성
임신 33~36주: 최종 발달
태아의 머리와 신체 비율이 성숙한 모습에 가까워지며, 대부분의 태아가 머리를 아래로 향한 자세를 취합니다.
주수 | 태아 상태 | 엄마 상태 |
---|---|---|
33-34주 | 키 42cm, 체중 2kg | 갈비뼈 통증, 숨가쁨 |
35-36주 | 키 45cm, 체중 2.5kg | 위 압박으로 식사량 감소 |
임신 37~40주: 출산 준비 완료
정상 만삭 기간으로 언제든 출산할 준비가 완료된 상태입니다. 태지가 떨어져 나가고 새로운 피부가 형성되어 모체 밖에서 생활이 가능해집니다.
- 37주: 정상 만삭 시작
- 38-39주: 최적의 출산 시기
- 40주: 키 50cm, 체중 3-3.5kg
- 출산 징후: 불규칙적 진통, 소변 자주, 자궁 하강감
임신 주수별 주요 검사 일정

임신 기간 중 받아야 하는 주요 검사들을 시기별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임신 초기 검사 (4~12주)
- 4-6주: 임신 확인, 혈액검사
- 6-8주: 첫 초음파 검사 (임신낭, 태아 심박동 확인)
- 10-13주: 1차 기형아 검사 (목덜미 투명대 측정)
임신 중기 검사 (13~28주)
- 15-18주: 2차 기형아 검사 (트리플/쿼드 테스트)
- 18-22주: 정밀 초음파 검사 (구조적 이상 확인)
- 24-28주: 임신성 당뇨 검사
임신 후기 검사 (29~40주)
- 28-32주: 정기 검진 (4주마다)
- 32-36주: 정기 검진 (2주마다)
- 36주 이후: 매주 검진, 태아 감시 검사
각 시기별 검사는 태아의 건강한 발달을 확인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. 의료진과 상담하여 개인에게 맞는 검사 일정을 수립하세요.
주수별 생활 관리 포인트

임신 초기 (1~12주)
- 엽산 섭취: 하루 400μg 이상
- 금주·금연: 태아 기형 위험 방지
- 충분한 휴식: 피로감과 입덧 관리
- 스트레스 관리: 안정적인 착상 도움
임신 중기 (13~28주)
- 균형 잡힌 식단: 태아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
- 적당한 운동: 체중 관리와 체력 증진
- 태교 활동: 음악 감상, 독서, 대화
- 출산 준비 교육: 출산과 육아 정보 습득
임신 후기 (29~40주)
- 출산 준비: 분만 가방 준비, 출산 계획
- 체중 관리: 과도한 체중 증가 주의
- 충분한 수면: 옆으로 누워 자기
- 출산 징후 관찰: 진통, 파수, 이슬 등
심한 복통, 질 출혈, 지속적인 두통, 시야 흐림, 갑작스런 부종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세요. 특히 임신 20주 이후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.
결론
임신 주수별 변화를 이해하면 태아의 성장과 엄마의 몸 변화를 예측하고 준비할 수 있습니다. 각 시기마다 중요한 발달이 이루어지므로, 정기적인 검진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임신은 개인차가 큰 과정이므로 책이나 인터넷 정보와 다르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. 궁금한 점이 있을 때는 언제든 의료진과 상담하여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.